Skip to content
HSP Logo Interactive Handbook
Sphere
  • CHS
  • LEGS
  • SEADS
  • CAMP
  • CPMS
  • MISMA
  • HIS
  • MERS
  • INEE
Korean
  • العربية
  • Deutsch
  • English
  • Español
  • Français
  • 日本語
  • Kikongo
  • Lingala
  • Tshiluba
  • Polish
  • Romanian
  • Slovak
  • Congo Swahili
  • Ukrainian
  • Newsletter
  • FAQ
  • Search
    • Search for book contents

    • Powered by Algolia logo
  • Handbook Sphere Handbook
    인도주의 헌장과 인도적 대응의 최소기준

    • 목차

    • 서문

    • 감사의 글

      • 기반 분야(Foundation chapters)

      • 기술 분야(Technical chapters)

      • 취약성, 역량 및 적용 환경

      • Sphere 이사회 (2018년 5월)

      • 후원기관

      • 핸드북 개정팀

      • 개정 작업을 위해 오프라인 대면 상담을 조직한 Sphere 연락기관 및 연락관:

      • Sphere 한국어 번역본

  • Chapter 1 Sphere란 무엇인가?

    • 목차

    • Sphere란 무엇인가?

      • 1. Sphere 핸드북

      • 4개 기반 분야 및 4개 기술 분야

        • 행동강령: 10가지 핵심 원칙

      • 일관성 있는 접근법을 장려하는 최소기준

        • 인도적 기준의 구조

        • 핵심 지표의 활용

        • 다른 기준과의 연계

      • 2. 상황별 기준 활용

      • 인도주의 사업 주기 전반에 대한 기준 적용

        • 현황 조사 및 분석

        • 전략개발 및 사업설계

        • 이행

        • 모니터링, 평가, 책무성, 학습

      • 취약성 및 역량에 대한 이해

        • 데이터 세분화

        • 아동

        • 노인

        • 젠더

        • 젠더기반폭력(gender-based violence, GBV)

        • 장애인

        • HIV 감염자 및 HIV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구

        • LGBTQI 인구

        • 정신건강 및 심리사회적 지원

      • 적용 환경에 대한 이해

        • 해당 국가 및 지역 활동가 지원

        • 장기간 지속되는 인도적 위기 상황

        • 도시 환경

        • 공동 정착지

        • 국내 또는 국제 병력이 존재하는 환경

        • 인도적 대응에서의 환경적 영향

    • 부록 시장을 통한 지원 제공

      • 인도적 대응에 대한 분석으로서의 시장 분석

      • 사업설계 및 시장

      • 점검표

        • 현금기반지원(CBA)에 대한 점검표

          • 사업설계

          • 이행

          • 모니터링, 평가, 학습

        • 공급망 관리 및 물류에 대한 점검표

          • 사업설계

          • 이행

          • 모니터링, 평가, 학습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Chapter 2 인도주의 헌장(The Humanitarian Charter)

    • 인도주의 헌장

      • 우리의 신념

      • 우리의 역할

      • 공통원칙, 권리, 의무

      • 우리의 약속

  • Chapter 3 보호원칙(Protection Principles)

    • 목차

    • 보호원칙

      • 보호원칙의 이행

        • 보호 활동

      • 보호원칙 1: 사람들의 안전과 존엄, 권리를 증진시키고, 이들이 추가적인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보호원칙 1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 세부 지침

      • 보호원칙 2: 사람들이 필요에 따라 차별 없이 인도적 지원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보호원칙 2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 세부 지침

      • 보호원칙 3: 사람들이 폭력에 대한 위협이나 실제 폭력, 강압, 고의적인 착취 등으로 인한 정신적, 심리적 영향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보호원칙 3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 세부 지침

      • 보호원칙 4: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보호원칙 4에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포함된다.

        • 세부 지침

    • 부록 보호 업무를 위한 전문 기준 요약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Chapter 4 인도적 지원의 핵심 기준(Core Humanitarian Standard)

    • 목차

    • 9가지 서약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핵심 기준

      • 독특한 구조

      • 서약 1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2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3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4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5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6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7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8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서약 9

        • 성과 지표

        • 핵심 활동

        • 기관의 책임

        • 세부 지침

    • 부록 핵심 활동 및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1.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그들의 필요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받는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2.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그들에게 필요한 인도적 지원을 적절한 때에 제공받을 수 있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3. 인도주의 활동의 결과로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추가적인 피해를 받지 않고, 보다 강한 준비성과 회복력을 갖추며, 위험에 덜 노출된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4.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그들의 권리와 자격을 인지하고, 정보에 접근하며, 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5.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안전하고 즉각적인 고충 처리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6.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잘 조정되고 상호보완적 인 지원을 받는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7. 인도주의 기관들이 경험과 반성을 통해 배움을 얻고,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는 이를 통해 더 나은 인도적 지원을 기대 할 수 있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8.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커뮤니티 및 인구가 유능하고 잘 관리된 직원 및 자원봉사자들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받는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서약 9. 인도주의 기관은 자원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윤리적인 방식으로 관리 될 것이라는 피해 커뮤니티 및 인구의 기대를 충족한다.

        • 핵심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기관의 책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참고 질문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Chapter 5 급수, 공중위생 및 개인위생 증진(Water Supply, Sanitation, and Hygiene Promotion, WASH)

    • 목차

    • 급수, 공중위생 및 개인위생 증진에 관한 핵심 개념

      • 누구나 물과 위생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 커뮤니티의 적극적 참여는 필수적이다.

        • 도시 지역에서의 WASH에는 특수한 고려사항이 수반된다.

        • 다양한 접근법의 조합이 필요하다.

        • 최소기준은 개별적으로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 국제법은 물과 위생에 대한 권리를 특별 보호한다.

        • 보호원칙 및 인도적 지원의 핵심 기준과의 연계

    • 1. 개인위생 증진

      • 개인위생 증진 기준 1.1: 개인위생 증진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개인위생 증진 기준 1.2: 개인위생 용품의 식별 및 접근과 활용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개인위생 증진 기준 1.3: 월경위생관리 및 실금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 급수

      • 급수 기준 2.1: 접근성 및 수질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급수 기준 2.2: 수질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3. 배설물 관리

      • 배설물 관리 기준 3.1: 인간 배설물이 없는 환경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배설물 관리 기준 3.2: 화장실에 대한 접근 및 사용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배설물 관리 기준 3.3: 배설물 수거, 운송, 처리, 처분의 관리 및 유지보수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4. 질병매개체 통제

      • 질병매개체 통제 기준 4.1: 정착지 수준에서의 질병매개체 통제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질병매개체 통제 기준 4.2: 질병매개체를 관리하기 위한 가정 및 개인의 활동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5. 고체폐기물 관리

      • 고체폐기물 관리 기준 5.1: 고체폐기물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고체폐기물 관리 기준 5.2: 고체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가정 및 개인의 활동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고체폐기물 관리 기준 5.3: 커뮤니티 수준에서의 고체폐기물 관리 체계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6. 질병 발생 및 보건의료환경에서의 WASH

      • 커뮤니티 기반의 질병 발생에 대한 대응

      • 기준 6: 보건의료환경에서의 WASH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부록 1 급수, 공중위생 및 개인위생 증진 관련 조기 필요 조사를 위한 점검표

    • 부록 2 F 다이어그램: 배설물-입을 통한 설사병 감염

    • 부록 3 생존 및 물 필요 충족에 필요한 최소 수량(水量)

    • 부록 4 커뮤니티, 공공장소, 기관에 필요한 최소 화장실 수

    • 부록 5 수인성 및 공중위생 관련 질병

      • 1. 수인성 감염에 대한 환경적 분류

      • 2. 배설물 관련 감염에 대한 환경적 분류

    • 부록 6 가정에서의 정수처리 및 저장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Chapter 6 식량안보 및 영양(Food Security and Nutrition)

    • 목차

    • 식량안보 및 영양에 관한 핵심 개념

      • 모든 사람은 굶주림으로부터 자유롭고 적절한 식량을 섭취할 권리가 있다.

      • 영양 부족의 원인은 복잡하다.

      • 도시 환경에서의 활동은 특수한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 특정 집단은 영양 부족에 더욱 취약하다.

      • 최소기준은 개별적으로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 국제법은 적절한 식량을 섭취할 권리를 명확히 보호한다.

      • 보호원칙 및 인도적 지원의 핵심 기준과의 연계

    • 1. 식량안보 및 영양에 대한 조사

      • 식량안보 및 영양에 대한 조사 기준 1.1: 식량안보에 대한 조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식량안보 및 영양에 대한 조사 기준 1.2: 영양에 대한 조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 영양실조 관리

      • 영양실조 관리 기준 2.1: 경증 급성 영양실조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영양실조 관리 기준 2.2: 중증 급성 영양실조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3. 미량영양소 결핍

      • 미량영양소 결핍 기준 3: 미량영양소 결핍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4. 영유아 수유/급식

      • 영유아 수유/급식 기준 4.1: 정책 지침 및 조정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영유아 수유/급식 기준 4.2: 비상사태 시 영유아 급식/수유에 대한 다분야 지원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5. 식량안보

      • 식량안보 기준 5: 일반 식량안보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6. 식량지원

      • 식량지원 기준 6.1: 일반 영양조건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식량지원 기준 6.2: 식량의 품질, 적절성, 수용 가능성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식량 지원 기준 6.3: 대상 선정, 배급, 전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식량지원 기준 6.4: 식품 활용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7. 생계

      • 생계 기준 7.1: 1차 생산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생계 기준 7.2: 소득 및 고용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부록 1 식량안보 및 생계에 대한 조사 점검표

      • 생계 집단의 식량안보

      • 인도적 위기 발생 이전의 식량안보 (기초선)

      • 인도적 위기 동안의 식량안보

    • 부록 2 종자안보에 대한 조사 점검표

      • 인도적 위기 발생 이전의 종자안보 (기초선)

      • 인도적 위기 발생 이후의 종자안보

      • 종자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조사: 가정 내 비축물

      • 종자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조사: 지역 시장

      • 종자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조사: 공식 분야(official sections)

    • 부록 3 영양에 대한 조사 점검표

      • 비상사태 이전의 상황

      • 현재의 영양 부족 위험

    • 부록 4 급성 영양실조 측정

      •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

      • 생후 6–59개월 아동

      • 5–19세 아동 및 청소년

      • 성인 (20–59세)

      • 노인

      • 장애인

    • 부록 5 미량영양소 결핍 관련 공중 보건의료의 중요성 측정 참고

    • 부록 6 영양 필요량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Chapter 7 쉘터 및 정착지(Shelter and Settlement)

    • 목차

    • 쉘터 및 정착지에 관한 핵심 개념

      • 모든 사람은 적합한 주거를 보장받을 권리를 갖는다.

      • 쉘터 및 정착지에서의 대응은 안전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 도시 환경에서의 쉘터 및 정착지 관련 대응은 구체적인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 다양한 인도적 위기 발생 이후 정착지 시나리오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 최소기준은 개별적으로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 국제법은 적합한 쉘터에 대한 권리를 특별 보호한다.

      • 보호원칙 및 인도적 지원의 핵심 기준과의 연계

    • 1. 계획

      • 쉘터 및 정착지 기준1: 계획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 위치 및 정착지에 대한 계획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2: 위치 및 정착지에 대한 계획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3. 생활 공간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3: 생활 공간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4. 가정용품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4: 가정용품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5. 기술적 지원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5: 기술적 지원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6. 거주 안정성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6: 거주 안정성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7. 환경의 지속 가능성

      • 쉘터 및 정착지 기준 7: 환경의 지속 가능성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부록 1 쉘터 및 정착지에 대한 조사 점검표

      • 현황 조사 및 조정

      • 인구통계

      • 위험

      • 자원 및 제약

      • 자재와 설계 및 건축

      • 가구 및 생계 활동

      • 필수 서비스 및 공동 시설

      • 수용 인구 및 환경에 대한 영향

      • 가정용품 관련 필요

      • 의복 및 침구

      • 취사와 섭취 및 난로와 연료

      • 도구 및 장비

    • 부록 2 정착지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

    • 부록 3 정착지 시나리오의 추가적인 특징

    • 부록 4 지원 방식

    • 부록 5 시행 방식

    • 부록 6 정착지 시나리오와 연계해 추진할 수 있는 지원 및 시행 방식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Chapter 8 보건의료(Health)

    • 목차

    • 보건의료에 관한 핵심 개념

      • 모든 사람은 시의적절하고 적합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

      • 인도적 위기 시 보건의료 서비스의 목적은 과도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경감시키는 것에 있다.

      • 기존의 보건의료 시스템을 지원하고 개발하도록 한다.

      • 도시에서의 인도적 위기 발생 시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인도적 대응에는 색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

      • 최소기준은 개별적으로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 국제법은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권리를 특별 보호한다.

      • 보호원칙 및 인도적 지원의 핵심 기준과의 연계

      • 보건의료 서비스 보호 관련 특별 고려사항

    • 1. 보건의료 시스템

      • 보건의료 시스템 기준 1.1: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보건의료 시스템 기준 1.2: 보건의료 인력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보건의료 시스템 기준 1.3: 필수 의약품 및 의료기기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보건의료 시스템 기준 1.4: 보건의료 재정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보건의료 시스템 기준 1.5: 보건의료 정보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

      • 2.1 전염병

        • 전염병 기준 2.1.1: 예방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전염병 기준 2.1.2: 전염병 감시, 발병 감지, 조기 대응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전염병 기준 2.1.3: 진단 및 사례 관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전염병 기준 2.1.4: 전염병 발생 대비 및 대응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2 아동 보건의료

        • 아동 보건의료 기준 2.2.1: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아동 질병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아동 보건의료 기준 2.2.2: 신생아 및 아동 질병 관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3 성과 재생산 보건의료

        • 성과 재생산 보건의료 기준 2.3.1: 재생산 보건의료, 모성 보건의료, 신생아 보건의료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성과 재생산 보건의료 기준 2.3.2: 성폭력 및 강간에 대한 임상적 관리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성과 재생산 보건의료 기준 2.3.3: HIV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4 부상 및 트라우마 치료

        • 부상 및 트라우마 치료 기준 2.4: 부상 및 트라우마 치료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5 정신 보건의료

        • 정신 보건의료 기준 2.5: 정신 보건의료 치료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6 비전염성 질병

        • 비전염성 질병 기준 2.6: 비전염성 질병의 치료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2.7 완화치료

        • 완화치료 기준 2.7: 완화치료

          • 핵심 활동

          • 핵심 지표

          • 세부 지침

    • 부록 1 보건의료에 대한 조사 점검표

      • 준비

      • 치안 및 접근성

      • 인구통계 및 사회구조

      • 보건의료에 관한 배경 정보

      • 사망률(mortality rates)

      • 이환율(morbidity rates)

      • 가용 자원

      • 기타 관련 분야의 데이터

    • 부록 2 주간 질병 감시 보고 서식

      • 2.1 사망 감시 서식 (종합)*

      • 2.2 사망 감시 서식 (개별 기록) *

      • 2.3 조기 경고, 경보 및 대응(EWAR) 보고 견본 서식

        • A. 주간 종합 데이터

        • B. 전염병 발생 경보

      • 2.4 보건의료 관리 정보 시스템(HMIS)에 관한 정기적인 감독 보고 견본 서식

    • 부록 3 주요 보건의료 지표 계산식

      • 조사망률(CMR)

      • 5세 미만 사망률(U5MR)

      • 발생률(incidence rate)

      • 증례치명률(CFR)

      • 보건의료시설 이용률

      • 의사당 일일 진료 횟수

    • 부록 4 중독

      • 초기 관리

      • 치료 프로토콜

      • 유독성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증상 및 가능한 치료

    • 참고문헌 및 추가자료

    • 추가자료

  • Annexes Annexes

    • 목차

    • 부록 1 Sphere의 법적 기반

      • 1. 인권, 보호 및 취약성에 관한 국제 법률

        • 1.1 인권, 보호 및 취약성에 관한 조약과 관습법

          • 1.1.1 보편적 인권

          • 1.1.2 대량학살, 고문 및 기타 형사상 권리남용

        • 1.2 인권, 보호 및 취약성에 관해 UN 및 기타 공식적으로 채택된 정부간 원칙 및 지침

      • 2. 무력분쟁, 국제인도법(IHL) 및 인도적 지원에 관한 국제 법률

        • 2.1 무력분쟁, IHL 및 인도적 지원에 관한 조약 및 관습법

          • 2.1.1 핵심 IHL 조약

          • 2.1.2 제한된 무기, 지뢰, 문화재에 관한 조약

          • 2.1.3 관습국제인도법(CIHL)

        • 2.2 무력분쟁, IHL 및 인도적 지원에 관한 UN 및 기타 공식적으로 채택된 정부간 원칙 및 지침

      • 3. 난민 및 국내이재이주민(IDPs)에 관한 국제 법률

        • 3.1 난민 및 IDPs에 관한 조약

        • 3.2 난민 및 IDPs에 관한 UN 및 기타 공식적으로 채택된 정부간 원칙 및 지침

      • 4. 재난 및 인도적 지원에 관한 국제 법률

        • 4.1 재난 및 인도적 지원에 관한 조약

        • 4.2 재난 및 인도적 지원 관련 UN 및 기타 공식적으로 채택된 정부간 원칙 및 지침

      • 5.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 및 대응에서의 인권, 보호 및 취약성에 관한 인도적 지원 정책 체계와 지침 및 원칙

        • 1. Sphere 동류기준(Companion Standard)

        • 2. 기타 주제별 규범과 지침 및 매뉴얼

          • 2.1 일반 보호 및 인도적 대응의 질에 관한 기준

          • 2.2 젠더 평등 및 젠더기반폭력(GBV)으로부터의 보호

          • 2.3 비상사태에서의 아동

          • 2.4 난민 및 IDPs

    • 부록 2 국제적십자사 · 적신월사 운동(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및 재난구호 분야의 비정부기구 (NGOs)를 위한 행동강령

      • 목적

      • 정의

      • 행동강령

        • 국제적십자운동과 비정부기구들의 재난대응 프로그램을 위한 행동원칙

        • 활동환경

      • 부록 1: 재난발생국 정부에 대한 권고

      • 부록 2: 공여국 정부에 대한 권고

      • 부록 3: 정부간 기구에 대한 권고

    • 부록 3 약어 및 머리글자

Copyright © Sphere Association, 2018
Copyright for the Core Humanitarian Standard on Quality and Accountability © CHS Alliance, Sphere Association and Groupe URD, 2018
Interactive Handbook powered by River Valley Technologies Limited
River Valley Technologies Logo
Loading...
This website uses cookies for reasons of functionality, convenience, and statistics. The cookies are never shared with any third parties. By accessing this site, you consent to the use of cookies.

Change Your Password

Showing - of comment(s)